|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Quality Management > Volume 45(3); 2017 > Article
상생협력분임조 혁신활동 활성화를 위한 사례분석 - 전국 품질분임조 경진대회 금상수상 기업을 중심으로 -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are the right conception of win-win partnership innovative activity. This study suggests the desirable methodology to Win-win Partnership. Also, through the in-depth analyzing of the existing problems, we intend to exclude such a formal and erroneous direction of the research.

Methods

This study systematically analyzes the best cases of the win-win partnership focusing on the proceedings of the companies participating in the field of win-win Partnership at the national quality-circle contest.

Results

This study reveals the underlying problems of win-win partnership innovative activity and draws the conclusion in the way of improvement about the win-win partnership innovative activity. This study also suggests the efficient method of the function and improvement of a system for activating win-win partnership innovative activity.

Conclusion

Promoting the effective way of boosting win-win partnership innovative activity, we seek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product among the companies, and let the a rising curve of the mutual growth continue among the companies by strengthening the competitiveness.

1. 서 론

우리나라 제조업 중심에서 시작된 분임조 활동은 타 산업분야 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회분야 및 국가 시스템 분야에서 새로운 유형들로 활용되어 가며 국가 경제 산업 발전에 근간이 되어 왔다.(KNQA b, 2016; Lee, 2016) 이러한 분임조 활동은 기업경쟁력에 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기업 구성원 개개인의 역량 향상의 강한 동기부여로 작용하며 기업과 구성원이 서로 발전하며 윈-윈(Win-Win)하는 선순환 시스템의 시발점 역할을 하고 있다.
최근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와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융복합형 산업구조의 개편으로 산업 생태계에서 새로운 가치창조를 위한 서로 다른 조직들 간의 상생협력(Win-win Cooperation) 개념의 활용은 이제 절대적인 명제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즉, 급변하는 세계 경제상황 속에서 기업들 간의 융합 및 상호협력(Collaboration)은 기업의 새로운 성장 가능성 측면에서 대한 매우 중요한 전략이며, 기업의 진취적인 발전을 이끌 수 있는 가장 강력한 방법으로 인식되고 있다.(Lee, 2015)
이러한 상생협력 부문은 2006년 6월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촉진에 관한 법률’ 이 발효되어 기업 간 협력 사업을 지원하고 우수기업에는 인센티브를 주는 등 실질적인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다방면의 노력을 실시하고 있다. 특히, 2013년 한국표준협회(KSA)에서는 전국 품질분임조 경진대회 중 ‘상생협력 부문’ 을 신설하여 변화하는 글로벌 산업 생태계에 유연성을 갖추기 위한 분임조 활동으로 개편하고 있다. 하지만, 그간 진행된 상생협력 부문은 아직 걸음마 단계로써, 현장 개선활동에 대한 다양한 DB화 및 표준 가이드라인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KNQA b, 2016)
본 연구에서는 상생협력분임조 혁신활동 활성화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최근 3개년(2014년~2016년)동안 국가품질상의 범주 내에서 실시된 전국 품질분임조 경진대회 ‘상생협력 부문’ 에 참여한 기업들의 주요 발표문집을 중심으로 우수사례를 분석하고 상생협력분임조 혁신활동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또한, 상생협력분임조 혁신활동의 활성화를 위한 향후의 제도개선 및 기능강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2. 기존 상생협력분임조 혁신활동 현황

2.1. 기존 품질분임조 활동

미국의 경제 전문지 포브스(Forbes)가 주목하고 있는 글로벌 기업의 지속적 성장기반은 혁신활동임이 널리 알려져 있다. 이러한 혁신활동의 중요 수단으로 인식되는 품질분임조 활동은 “같은 직장 내에서 품질관리 활동을 자주적으로 하는 작은 그룹. 이 작은 그룹은 전사내 품질관리 활동의 일환으로서 자기계발, 상호계발을 하고 품질관리 수법을 활용하여 직장의 관리·개선을 계속적으로 전원 참가로 한다.” 로 정의된다.(KNQA b, 2016)
한편, 분임조 활동에 대한 학문적 접근은 학회 및 세미나 등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진행되었으며 분임조 활동의 확장에 이바지 하고 있다. 그 간의 분임조 활동 성과분석 연구에서는 고영내, 박병기, 홍성훈(1997), 이상복, 노형진(1998), 최진영, 이상철, 박상찬, 서영호(2010), 양희중(2016) 등에 의해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또한 분임조 활동의 행동요령에 관해서는 이강인(2003), 김창희, 김광수(2010) 등 에서 연구가 진행되었다. 마지막으로, 분임조 활성화 방안 연구에서는 김원중(1986), 이상복, 이형규(2000), 이강인(2007), 신용백(2007), 김광용, 노인성(2010) 등에서 집중 분석 및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학문적 활성화와 더불어 실무적 접근에서는 분임조 활동의 개선효과 확대 및 활성화 추진을 위해 한국표준협회 주관으로 매년 전국 품질분임조 경진대회를 실시하고 있으며 , 이를 통해 분임조 활동이 기업의 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되는 실질적인 효과를 도모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Table 1에서는 최근 5개년(2011년~2015년)동안 전국 품질분임조 경진대회에서 참여한 56개 참여기업에 대한 분석을 보여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참여기업들이 사용하는 통계 기법들(가설검정, 상관분석, 회귀분석, 실험계획법, 관리도, 공정능력분석, P-FMEA 분석 등)의 사용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실험계획법을 통한 일원 및 다원배치법의 활용과 다변량 분산분석 및 판별분석 등의 고급통계기법의 활용이 평균적으로 중가 추세를 보이며 개선효과 금액에서도 매년 증가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Yang, 2016)
최근 들어, 분임조 활동이 강조되는 이유는 해당 조직의 문제를 가장 잘 아는 현장근로자로부터 기업경영의 최고 책임자인 경영자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아이디어 활용을 통해 조직 구성원의 능력계발과 명랑한 조직 형성을 최우선 가치로 하는 팀 단위의 세부 활동이라는 점에서 매우 유용한 수단으로 인식되기 때문이다.(Lee, 2016) 또한 분임조 활동을 통해 기업의 혁신(Innovation)을 도모하며 급변하는 글로벌 생태계의 환경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하는 등 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지속적이고 유익한 개선 노력들을 가능케 하는 활동의 장이 되어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결국, 이러한 수많은 분임조 활동들의 긍정적인 효과들을 통해 2014년 산업현장에서는 12만 건의 현장 품질 문제를 개선함으로써 원가절감 등으로 2조 8,000억 원의 직접적인 경제적 효과를 창출하고 있다.(Hwang 2015; Lee, 2016) 이와 더불어, 분임조 활동들을 통해 기업의 기술력 특화 및 경쟁력 강화에도 이바지 하며 혁신활동을 통한 산업계 경제활동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2.2. 상생협력 활동의 탄생

최근, 2011년 무렵부터 독일을 중심으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와 더불어 현재 기업경영의 패러다임은 기존 제조업에 IT를 접합하는 등 동종, 이종산업 간의 융복합을 통해 기업생태계의 가치가 새롭게 변화되어 가고 있다. 더욱이 IoT를 통한 전 세계의 기업생태계가 기존 개별기업의 독립적 활동에서 그 기업을 둘러싼 다양한 공급자, 구매자들의 네트워크 활동을 통해 기업생태계가 재편성 및 확대되고 있다.
하나의 기업은 그 기업의 네트워크를 공유하는 기업생태계간의 경쟁에 있어서 협력기업들의 높은 기술력을 바탕으로 기업 간 가치사슬(Value Chain)이 강하게 연결 되어야 할 것이며 앞으로 기업 경영전략의 핵심은 협력기업들과의 상생협력 중요성과 함께 협력기업들과의 기술 역량강화로 경쟁우위를 선점하는 것으로 요약 할 수 있다.(KJCF, 2011)
우리나라에서는 기업 생태환경 변화에 탄력적으로 대처 가능한 분임조 활동을 유도하기 위해서 2013년 한국표준협회 국가품질센터에서 상생협력 부문을 탄생 시켰다. 상생협력 부문의 법률적 배경은 <법률 제10399호, 2010.12.7.>을 들 수 있다. 현재는 <법률 제12498호, 2014.3.18.>로 개정되었으며 아래와 같은 법률상 근거를 강조하고 있다.(Lee, 2015)
- 대기업과 중소기업 상생협력의 자율성 보장
-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성과공유 및 기술·인력교류의 촉진에 관한 사항
효과적인 상생협력 부문의 활동을 위해서는 기업 간 상호 신뢰에 바탕을 둔 상생협력이 중요하다는 인식과 함께 공동의 협력아래에서 기술 개발을 통한 경쟁력 강화 및 기업의 지속적인 성장 파트너쉽(Partnership)을 구축하는 상호 의존적인 상생활동임을 인식 할 필요가 있다.

2.3. 상생협력분임조 혁신활동

한국표준협회(KSA, 2017)에서는 상생협력 부문을 ‘제품 및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이루어지는 기업간의 협업 활동으로 기업(모기업/협력기업)간 공동의 협력을 위한 분임조를 편성하고 총 7개의 프로세스(협력인프라 및 품질실현, 인재육성, 커뮤니케이션, 지원, 위기관리, 평가, 성과공유 등)에 대한 협업 활동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내용’ 으로 정의하고 있다.
기업 간 상생협력분임조 활동은 기업의 목적달성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해 모기업과 협력기업 간 협업으로 구성되어야 하며 이를 통한 상생협력분임조 팀의 구성 및 활동은 기업의 성장곡선을 더욱더 가파르게 만들 수 있는 효과적인 수단이 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상생협력분임조 혁신활동은 모기업과 협력기업간의 공동의 협력, 상호 친밀한 관계형성을 통해 각 기업별 개별성장이 아닌 동반성장을 통하여 상호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라는 가치를 달성 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Figure 1은 기업 간의 협업(Collaboration)을 통한 상생협력분임조 혁신활동이 추구해야 할 목적을 설명하고 있다.(Kim, 2015) 첫째로, 현장의 문제를 해결함으로서 설비효율성 향상 및 품질 향상을 통한 고객만족도 향상이다. 둘째로, 공정개선을 통한 원가절감/Loss 감소 및 新기술 개발/공유를 통한 기업의 경쟁력 강화이다. 마지막으로 우수사례 확산을 통한 타 부서 간 참여도 확대 및 참여조직간 신뢰도 향상이다. 이러한 긍정적인 과정들의 선순환 구조의 생성으로 상생협력분임조 혁신활동은 기업 가치창출의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 될 것이다.
Table 2(Lee, 2016)는 2004년도 캐니엘과 갤더만(Caniels and Gelderman)의 연구결과로 주요 학자들이 분류한 상호협력 관계모형을 협력발전 단계와 방법론을 구분 설명한 것이다. 이미 선진국의 일부 학자들은 약 30년 전부터 상생협력 개념이 필요하다는 점을 설명하고 있었던 점은 놀라운 사실이 아닐 수 없다.
이들 중 1991년 앨램(Ellram)과 2001년 윌슨과 네일슨(Wilson & Neilson)이 발표한 단계는 향후, 상생협력 부문의 품질분임조 활동을 원활하게 하는 데 많은 도움을 줄 것이다. 향후 상생협력 부문 출전을 준비하는 분임조들은 지금까지 전국품질분임조 경진대회에 출전한 우수한 팀들의 발표 자료를 참조하면서, 앨런 및 윌슨과 네일슨에 제시한 문제해결 프로세스를 좀 더 구체적으로 인용하면 앞으로 상생협력 부문의 좀 더 구체적인 활동방향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Table 3에서는 앨램이 제시한 문제해결 프로세스 단계별로 확인/점검/전개 가능한 내용들을 추가적으로 정리한 것이다.(Lee, 2016)
Figure 2에서는 상생협력분임조 혁신활동에 대해 전국 품질분임조 경진대회 발표 양식인 QC스토리 심사기준에 근거하여 3단계로 구분하였으며 각 단계별 주요 세부적인 단계로 재구분하여 기업의 상생협력분임조 혁신활동을 평가한다.(KSA, 2017)
1단계에서는 개요부문으로 회사 소개, 분임조 소개, 공정 소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회사의 목표와 현황을 소개하고 분임조 조직 및 그간 활동사항을 기술하며 공정의 소개를 통한 이해도 향상에 목적이 있다. 2단계에서는 핵심부문으로 주제선정 및 배경, 계획수립, 현상파악, 원인분석, 목표설정, 대책수립, 대책실시, 결과분석, 효과파악으로서 상생협력 활동에 대한 전 과정 및 문제해결능력을 통한 결론 및 효과를 산출해 낸다. 마지막 3단계 마무리 부문에서는 새로 개발 및 개선된 공정기술에 대한 사내 표준화 등록 및 사후 관리를 통해 지속적으로 활동내용을 추적한다. 또한, 이번 상생협력분임조 혁신활동에 대한 반성과 향후 계획을 통해 타 분임조에게 향후 벤치마킹 가능하도록 기술하는 것이 심사기준에 삽입되어 있다.

3. 상생협력분임조 혁신활동 사례분석

기업들의 상생협력분임조 혁신활동을 통하여 그간 괄목할 만한 성과를 도출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전국 품질분임조 대회참가 및 입상을 위한 형식적인 상생협력분임조 혁신활동, 잘못된 방향 및 분석기법들을 사용하는 허수적인 사례들도 일부 발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3개년(2014년~2016년)동안 전국 품질분임조 경진대회 상생협력 부문에서 ‘금상’ 을 수상한 모든 기업(총 18개)을 대상으로 세밀하게 분석하였으며, Table 4에서는 수상한 기업들을 연도별로 순서화 및 주요 유/무형 효과를 간략화 하여 작성하였다.(KNQA, 2014; KNQA, 2015; KNQA, 2016)

3.1. 전국 품질분임조 경진대회 ‘상생협력 부문’ 심사기준 분석

Table 5에서는 상생협력분임조 혁신활동의 성과 측정도구인 2017년 전국 품질분임조 경진대회 ‘상생협력 부문’에 공표된 심사기준을 요약하여 표시하였다.(KNQA, 2017) 이를 통해 각 심사항목별 심사 가이드라인(Guide line) 및 배점별 가중치 분석을 통해 상생협력 혁신활동의 올바른 개념 정립 및 진행방향을 설명하고자 한다.
Table 5의 심사기준은 총 5단계로 나뉘었으며 각 심사항목별 배점은 ‘1.주제선정 및 활동계획의 적합성(16점), 2.현상파악 및 원인분석(40점), 3.개선대책 수립 및 개선실시(22점), 4.효과파악 및 성과공유(12점), 5.원고작성 및 발표의 첪실성(10점)’ 으로 나누어져 있다.
이를 재해석 해 본다면 상생협력분임조 혁신활동에 있어 가장 중요한 핵심요소는 현장의 문제를 바라보는 직관력과 모기업과 협력기업의 협업을 통한 원인분석이며 그 다음으로는 협업을 바탕으로 문제해결을 위한 알맞은 개선대책의 발굴이다. 이는 상생협력분임조 혁신활동에서 문제분석이 가장 중요함을 설명하고 있다. 또한, 문제해결 능력에 있어 가장 강력한 능동적 대응력과 기술력을 갖춘 협력기업의 선정을 통해 개선대책이 수립 및 실시되어야 하며 이에 맞는 활동계획이 적합하여야 한다.
다음 절에서부터는 위에서 언급된 심사기준을 기준으로 이번 연구의 사례분석 대상인 18개의 참여기업의 문집을 항목별 심층 분석하였다.

3.2. 분임조 및 공정소개 단계

전국 품질분임조 경진대회 상생협력 부문의 심사기준에는 포함되지 않았지만, 대부분 참가 팀들은 발표문집의 비교적 전반부인 회사소개 부분에 기업 상생협력분임조 혁신활동의 주제선정에 있어 각 기업들의 상생협력분임조 혁신활동에 대한 가치관과 운영현황을 기술하였다. Figure 3에서는 코오롱 인더스트리(2016)의 사례를 예시로 보여주고 있다. 회사 차원에서의 상생전략과 교육, 기술, 인력 지원은 참여구성원들에게 상생협력의 이해도 향상 및 빠른 공감대 확산으로 상생협력분임조 혁신활동의 목표에 빠르게 접근할 수 있다.
분임조 소개부문에서는 와 같이 Figure 4 SK하이닉스_이천(2014,2015,2016)은 상생협력 기술세미나 및 상생협력 화합활동을, 코오롱 인더스트리(2015)에서는 상생협력 교류에 대한 추가 운영을 통한 다른 상생협력분임조 혁신활동들과 차별성을 보여준다. 즉, 모든 상생협력분임조 혁신활동의 경우 분임조 활동에서만 직접적인 활동 및 교육을 보여주고 있지만 위 4개 기업의 상생협력분임조 혁신활동에서는 분임조와 협력기업 간 추가적인 특별 상생협력활동을 운영 및 추진함으로서 기업 간 상생협력이라는 목적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추구한다고 할 수 있다.

3.3. 주제선정 단계

3.3.1 주제선성 유형별 분석

상생협력분임조 혁신활동의 주제선정 단계에서는 주로 3가지 방식(Top-down, Bottom-up, 협력기업 제안)이 있으며 아래에서는 유형별 강점과 약점 분석에 의한 문제점을 기술하며 개선안을 제안한다.

1) Top-down 방식

이번 연구 대상 사례 총 18개 중 7개에서 활용한 Top-down 주제선정 방식은 Figure 5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기업의 비전과 부서의 목표, 그리고 상생협력분임조 활동이 하나의 강력한 연결고리로 연계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기업의 대외적인 환경 분석에 따라 문제를 개선해야만 하는 목적성과 시급성이 가장 높은 현안으로 모기업은 상생협력분임조 혁신활동에 관한 높은 관심과 함께 문제해결에 필요한 기술, 장비, 인력 등 능동적인 자세와 함께 많은 지원을 실시한다.
하지만 방식의 주제선정은 모기업의 강력한 Top-down 리더십에 의해 추진됨으로서 다른 주제선정 방식(Bottom-up, 협력기업 제안)보다 상대적으로 구성원들의 낮은 동기부여 및 집중력 부족이 발생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대내외적 환경 변화 및 거시적인 목표, 전략 등을 전사적으로 공유하는 지속적인 경영세미나 및 상생협력 교류활동 들이 협력기업을 포함하여 빈번하고 꾸준하게 진행 되어야 한다.

2) Bottom-up 방식

Bottom-up방식은 구성원이 직접 아이디어를 제안하고 공유하며 문제해결에 대한 대안을 직접 선별하는 방식이다. Figure 6에서는 총 18개 사례 중 10개의 상생협력분임조 혁신활동에서 활용한 Bottom-up방식의 주제선정을 위한 Flow-chart를 보여준다.
먼저, 구성원들이 제안한 신규 주제와 기존 문제은행에서의 제안들을 취합한 후 후보주제 선정을 위한 평가를 진행한다. 후보주제의 적합성 검토를 위해 Figure 7과 같이 기업 측면에서는 품질, 생산, 안전, 상생협력 등을 고려하고 분임조의 측면에서는 시급성, 효과성, 가능성, 참여도 등을 고려하는 가중치를 두어 주제를 선정한다.
이러한 참여자 투표 주제 선정방식은 다른 주제 방식(Top-down, 협력기업 제안)보다 현장의 근로자가 주체가 되어 참여, 개선안 제안, 문제해결 등 생산성 및 품질향상을 위한 현장에서의 필요첪분조건이 맞는 이상적인 상생협력분임조 혁신활동을 수반한다.
하지만, 사례분석 대상 18개 사례 중 Bottom-up방식을 선택한 대부분의 기업들은 기획 초기에 위 부분에 대한 중요성을 간과하여 영향력 있는 특정인에 대한 결정으로 주제가 선정됨에 따라 과제 추진 시 상호 의사소통 및 추진력에 대한 애로사항들이 높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분임조원 및 협력기업 간의 기술 세미나 및 교육 등 충분한 사전의 교류가 필요하며 이를 통해 설비 및 공정의 높은 이해도와 함께 개선의 목적 등에 대한 집중력 있는 탐구시간이 공유되어야 한다.

3) 협력기업 제안방식

이번 연구 대상 사례 총 18개 중 오직 1개 기업만이 협력기업 제안방식을 활용하였다. Figure 8에서는 SK하이닉스_청주(2014)에서 협력기업이 모기업의 ‘상생협력 건의 시스템’ 을 통해 협력기업이 안건을 등록하고 모기업과 협력기업이 적합성 검토 및 평가를 통해 주제를 선정하는 협력기업 제안방식을 보여준다.
협력기업 제안방식은 다른 주제선정 방식(Top-down, Bottom-up)보다 개선된 주제선정 방식의 모델이다. 협력기업의 적극적인 의지와 높은 참여율은 결과적인 측면에서 협력기업의 적극적인 기술개발은 협력기업의 新기술 개발뿐만 아니라 모기업과 성과공유(공동 특허출원, 新기술 도입 등)를 통한 동반성장을 창출한다. 이러한 협력기업 제안방식은 협력기업의 끊임없는 기술개발을 통한 협력기업의 발전과 더불어 모기업의 성장을 이루어내는 상생협력분임조 혁신활동의 가장 올바른 방법으로서 앞으로 지속 확장시켜야 하는 고도화 모델로 판단된다.

3.3.2 주제선정 및 상생협력 활동 배경

1) 주제선정 배경

주제선정 시 경쟁사 및 타 공장 수준의 비교자료를 비교 분석한 객관적인 근거를 제시한다면 주제선정에 대한 논리성이 명확해질 것이다. Figure 9에서 SK하이닉스_이천(2014)은 ‘공정 부적합률 감소’ 주제선정 근거에 관하여 경쟁기업 2곳과의 부적합률에 관련한 비교 자료를 제시하였다. 또한 금호타이어(2016)에서는 ‘부적합품 감소’ 주제선정 배경에 대하여 자사 국내 타 공장 손실비용과의 자료를 비교하였다.
이러한 주제선정 시 객관적 자료들을 통해 기업은 현재 기술력의 수준을 파악하고 기업이 직면한 문제해결을 위해 보다 정확한 분석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결국 객관적이고 효과적인 분석을 통한 주제선정은 상생협력분임조 혁신활동에 있어 나아갈 방향을 보다 명확히 제시한다.

2) 상생협력 활동배경

2015년 이후의 전국 품질분임조 경진대회부터는 상생협력 활동배경(Background)을 기술 및 발표하는 문집들이 증가하고 있다. 사례분석 대상기업 중 4개의 기업인 코오롱 인더스트리(2015), SK하이닉스_이천(2015), 코오롱 인더스트리(2016), 금호타이어(2016)에서 상생협력 활동 배경에 대한 기술을 하였는데, Figure 10은 코오롱 인더스트리(2015)의 예시를 통해 우수한 상생협력 활동 배경을 설명한다.
주요 상생협력 활동 배경으로는 먼저 현장 문제해결에 적합한 , 필요기술 및 전문기술을 도출한다. 다음으로 구성원들의 필요기술 보유 능력 판단을 통해 현재의 능력수준 및 부족 기술능력 분야를 확인한다. 이를 바탕으로 멘토(Mentor)-멘티(Mentee)를 선정하여 필요기술의 전문역량향상을 위한 혁신활동을 진행한다.

3.4. 현상파악 및 원인분석 단계

3.4.1 현상파악 단계

현상파악 단계는 현상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중점관리대상을 선정하는데 목적이 있다. 항목별 현상 데이터를 수집하고 개념들을 도식화 하는 단계이다. 또한, 직관력 있는 원인분석을 위해 다양한 그래프 및 파레토도 등의 기법을 활용하여 현재의 현황들을 구체화 하여 기술한다. 또한, 각종 공정의 특성, 설비 동작의 이해 등 의 상생협의를 통해 중점관리 대상을 발굴해 낸다. 하지만 대부분의 상생협력분임조 혁신활동에서는 데이터 수집 및 분석의 전문성이 부족함을 피력하였다. 최적화된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데이터 수집 및 분석 방법들을 교육되어야 하며 그것을 복수의 관점에서 서술하는 교육 등이 필요할 것이다.

3.4.2 원인분석 단계

이 단계에서는 보통 위에서 도식화된 현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QC(Quality Control) 분석기법 활용을 통하여 집중력 있는 원인분석을 진행한다. 원인분석 단계에 있어서는 연구대상 사례 18개 중 3차 분석(P-FMEA)까지 사용한 3개의 기업을 제외하고 나머지 15개 상생협력분임조 혁신활동에서는 1차, 2차 분석까지만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각 기업들의 원인분석 시에 활용하는 분석수법 적용차수의 빈도가 문제됨을 기술하고자 함이 아니라, 원인분석 방법에 대하여 아래와 같은 유의사항을 기술하고자 한다.
먼저, 1차, 2차 분석을 진행한 15개 기업들의 경우 1차 분석에는 특성요인도 및 연관도를, 2차 분석에는 계층별 분류를 이용한 요인계통도만을 활용하며 원인분석에 대한 분석기법이 모든 기업에 정형화 되어 있었다. 또한 Figure 11과 같이 원인분석 단계의 1차 분석(특성요인도)에서 도출된 주요 원인들을 2차 분석(요인계통도)의 수평적, 단계별로 분류 기술한 중복기술 내용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이유는 원인분석단계에서 특성요인도 및 요인계통도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부족함을 나타내는 증거라 할 수 있으며 실제적으로 15개의 상생협력분임조 혁신활동에서 구성원들의 QC분석기법 이해도 및 활용도 부족을 공통된 애로사항 및 미흡함으로 분석, 기술하였다.
앞으로 상생협력분임조 혁신활동에서는 기존 정형화된 방법들에서 탈피하고 차별적인 분석력 활용을 위서는 QC분석기법에 집중력 있는 교육실시가 사전에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3.5. 개선대책 수립 및 실시 단계

3.5.1 개선대책 수립

개선대책 수립단계 전에 목표설정 및 그 근거에 관해서 논의가 되어야 한다. Figure 12에서 SK하이닉스_이천(2014)은 자사 타 공장과의 현황 데이터 비교를 통한 목표설정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였으며 SK하이닉스_청주(2014) 및 SK하이닉스_이천(2015)은 동종업계 경쟁사 데이터를 통한 목표설정 근거 제시하였다. 이는 앞에서 설명했던 3.3.절의 주제선정과 마찬가지로 목표설정에서도 근거 제시를 통해 목표설정의 당위성과 논리적 설명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한다.
Figure 13에서는 개선대책 수립단계에서 대책 수립 계통도를 활용하여 원인분석 결과의 주요 요인을 해결하기 위해 차수별 층별 전개를 실시하여 실행주체를 구체화하여 나타낸다. 또한, 문제해결을 위한 개선실시 과정에서 발생될 예상 현상들을 사전에 연구하며 개선 과정에서 또 다른 부작용 문제점 발생이 없는지 등을 구성원들 간의 토론을 실시한다. 이렇게 토론된 내용을 바탕으로 주요원인에 대하여 즉시 개선할 수 있는 부분과 장기적 플랜으로 개선해야 하는 부분으로 이원화를 실시한다.

3.5.2 대책실시 단계

대책실시 단계에서는 보통 PDCA(Plan, Do, Check, Action) 사이클을 실시한다. 먼저 Plan단계에서는 모기업과 협력기업 간 필요지원 사항 및 필요기술을 분석하고 이에 상응하는 상생협력분임조 혁신활동의 계획을 수립한다. Figure 14에서는 Plan단계의 비교사례를 통해 일반적인 작성방법과 우수한 작성방법을 보여주고 있다. SK하이닉스_이천(2015)의 경우 Plan단계에서 문제해결 대책실시에 따른 주체적 역할과 방법의 기술 및 행동요령 등의 구체적 데이터를 작성함으로써 문제해결에 대한 개관적이고 명료한 표현방법이라 판단 할 수 있다.
Figure 15에서는 두 번째 Do단계를 보여주고 있으며 이번 연구 대상 사례 총 18개 기업들 모두가 아래의 2가지 분석기법을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다. 첫째, 기술세미나 및 아이디어 회의를 통해 도출된 개선안을 구성원의 평가로 채택하는 경우이며 둘째, 통계분석의 실험계획법 사용이 주로 활용된다. 하지만 과거와는 달리 실험계획법 사용 비중이 점차적으로 확산되고 있으며 결과 값에 대한 유의성 검사를 위해 고급 통계분석법이 활용되고 있다. 이들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실험의 조건 및 상황에 부적합한 그래프 및 분산분석표가 작성되는 경우가 간혹 있다. 특히, 자유도(ν)의 경우가 대표적인 오류 현상이다. 실험계획법의 올바른 적용을 위해서는 통계분석의 개념 및 활용방안에 대한 구성원간의 지식공유가 이루어져야 하며 올바른 통계해석이 도출될 수 있도록 심도 있는 연구가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주제명의 목적과 관련된 각 문제해결방법에 Check 적용된 개선대책 실시를 통해 데이터 현황 분석 및 추적을 진행한다. Figure 16에서는 Check단계에서 표기된 결과 데이터를 다음과 같은 3가지로 분류하여 보여준다.
① 개선대책 실시 후의 결과가 목표 값에 근접 달성하거나 혹은 개선 전과 데이터 비교를 통해 개선대책 실시가 올바른 방법으로 적용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는 문제해결에 대한 원인분석 및 개선대책이 효과적으로 분석 및 실시되었다고 할 수 있다.
② 개선대책 실시 후의 결과가 목표 값보다 초과달성 된 경우이다. 이는 문제해결에 관하여 원인분석 및 개선대책이 아주 효과적 이였을 뿐만 아니라 최선의 노력으로 이루어 낸 아주 우수한 결과이다. 하지만 몇 몇 기업의 경우 목표달성에 있어 극단적인 목표가 초과 달성된 경우가 있다. 이는 원인분석 및 개선대책 수립 단계에서 너무 보수적이거나 혹은 잘못된 예측방법으로 목표 값이 잘못 설정되지 않았는지 재검토가 필요한 부분이다.
③ 개선대책 실시 후의 결과가 목표 값에 도달하지 못하였거나 혹은 예상치 못한 추가적인 문제발생으로 목표 값에 미달성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는 원인분석 및 개선대책 수립 시 모든 변수를 적용하였다 하더라도 제조현장의 특수성에서 발생할 수 있는 돌발적인 문제들이 항상 존재하고 있음을 대변해 준다. Figure 17은 코오롱 인더스트리(2016)에서 목표 미달성으로 인하여 추가적인 대책회의를 실시하였고 특성요인도 및 대책 수립계통도를 재작성하여 추가적인 PDCA 사이클을 통해 돌발문제를 포함한 모든 문제해결에 관한 목표달성을 보여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네 번째 단계에서는 상생협력분임조 혁신활동의 Action 개선실시를 통해 생성된 새로운 독점적 기술들을 표준화 실시 및 특허출원 등을 통해 기업의 지적 자산으로 기록·보관한다. Figure 18에서는 현대제철(2016)의 경우 상생협력분임조 혁신활동의 결과물의 표준화 제품등록 및 특허출원을 진행하였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상생협력분임조 혁신활동을 통해 생성된 기업의 지식을 암묵지(Tacit knowledge)와 형식지(Explicit knowledge)의 4가지 지식전화과정들의 상호작용(공동화, 표출화, 연결화, 내면화)을 통하여 기업 지식경영시스템(Knowledge Management System)에 등록 시킨 사례이다.(Nonaka, 1995) 이러한 새로운 기술 표준화들의 체계적인 관리와 공유는 기업의 원천기술 및 고유기술로 축적되어 기업경쟁력을 더욱 향상시킬 것이다.

3.6. 효과파악 및 성과공유 단계

3.6.1 효과파악

효과측면에서는 유형효과와 무형효과로 분류하여 산출한다. Figure 19에서는 대표적인 유형효과와 무형효과의 예시로 SK하이닉스_이천(2016)의 경우를 보여주고 있다.
먼저 유형적인 효과에서는 효과금액에서 투자비를 제외하고 산출한다. 하지만 그 유형적인 효과분석에 있어서는 지표산출(부적합품률 감소, 원가 절감, 생산성 향상 등)에 대한 다양한 데이터 수집 및 분석 기술(Skill)이 요구된다. 상생협력분임조 혁신활동들의 경우에는 데이터 분석기법의 능력 부족으로 효과산출의 객관화에 어려움을 표시한 곳들이 있다. 정확한 결과분석 및 효과파악을 위해서 상생협력분임조 혁신활동 시작과 더불어 분석기법 교육은 반드시 병행되어야 하는 필수요소로 지적되고 있다.
다음으로는 무형적인 효과측면을 살펴본다. 상생협력분임조 혁신활동의 무형효과들로는 경쟁사 대비 시장우위 선점, 문제해결능력 향상, 자신감 향상 등으로 열거된다. 이러한 무형적인 효과들은 상대적으로 단기적인 유형적인 효과들보다 더욱 중요한 효과 포인트를 가지고 있다. 즉 기업의 지속적인 성장의 측면에서 본다면 조직 구성원의 성취감 및 신뢰도 향상의 성과들은 결국 암묵적인 지식(Tacit knowledge)의 형태로 남아 결국 조직에 대한 첪성심과 주인의식을 고취시키는 더 높은 효과를 낳을 수 있다.

3.6.2 성과공유

상생협력분임조 혁신활동의 가장 본질적인 목표는 기업 간의 동반성장이다. Figure 20을 통해 대표적인 몇 몇 우수사례를 살펴보기로 한다. 현대제철(2016)에서는 새로운 기술에 대하여 총 3건의 특허출원을 진행하였고 특히 모기업과 협력기업의 공동특허 출원으로 결과물의 공동소유를 통한 상생협력분임조 혁신활동의 최대 목표인 동반성장의 가치 실현을 이루어 내었다. SK하이닉스_이천(2015)에서는 인센티브 수여 및 감사패 증정을 통해 공동성과에 대한 가치의 문화 확산을 이루었다. SK하이닉스_청주(2014)에서는 공동 특허 출원, 결과물 지적재산권 공유, 사내 논문 학술대회 수상 및 기업의 대외적 이미지 홍보효과를 통한 지경부장관상을 수상하였다.
이처럼 각 성과물에 대한 기업 간 다양한 공유 방법들을 추진함으로서 상생협력분임조 혁신활동의 신뢰도 향상은 더욱더 견고해지고 동반 성장의 가속화를 실현하는 기틀을 마련하였다.

4. 상생협력분임조 혁신활동 활성화 방안

앞 장에서 설명된 상생협력분임조 혁신활동 행동요령의 개선점 외에도 전사적인 시스템 개선 및 제도개선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상생협력분임조 혁신활동 활성화’를 위해 아래와 같이 3가지 측면에서 추가적인 제도개선을 제안하고자 한다.

4.1. 문제해결 기능강화 측면

상생협력분임조 혁신활동의 기능강화 측면을 강화시켜야 할 것이다. 일본의 도요타 게스트 엔지니어(Toyota Guest Engineer)제도를 벤치마킹하여 모기업 개발설비의 설계단계 혹은 생산 준비 단계부터 협력기업의 인력을 참여시켜 관점의 다각화를 통한 효율성을 제고하는 것이다.(KJCF, 2011) 더불어 데이터 수집 및 분석기법 능력 향상을 위한 전문기관(연구기관, 대학 등)과의 교육연계 등을 실시하여 내부고객의 만족도 향상 및 활용능력을 향상시켜야 한다. 예를 들어 분임조 교육훈련은 분임조 활동에 대한 인식 및 가치관 확립을 위한 교육과 문제해결 능력 향상을 위한 기법을 실시하되 의식교육을 우선 실시해야 하며 기법 교육은 기초적이고 간단한 내용부터 실시한다. 가장 먼저 계층별, 부문별 교육훈련 계획 수립 실시하고, 분임조 활동에 대한 인식 및 가치관 확립을 위한 교육을 실시한다. 이를 통해 분임조 원들은 조직간 상생협력을 위한 QC의 기본 개념, 분임조 활동의 중요성, 분임조 활동 요령 등을 습득하며 문제해결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창의력 개발 및 리더십 및 인간관계 개선 등 의 교육을 실시한다.
마지막으로 상생협력 전문가 세미나를 통한 조직구성원들의 공감대 형성 및 상생협력분임조 혁신활동 대상 기업간의 현장 문제해결을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의 활성화가 더욱 필요할 것으로 판단한다. 멘토-멘티의 교류회를 통한 강한 응집력을 바탕으로 설비개선 및 공정개선을 위한 지속적인 세미나를 운영하며, 사내외 발표대회 참관을 통해 구성원의 능력개발 및 문제해결기법 강화를 위한 자주적 활동을 추진한다.

4.2. 성과공유 프로그램 측면

상생협력분임조 혁신활동의 성과공유를 강화 및 시스템화 하여야 한다. 이번 연구 대상 사례 총 18개 중 현대제철(2016), SK하이닉스_이천(2015), SK하이닉스_청주(2014) 3개 에서만 공동특허 등록, 인센티브 분배 등의 성과공유가 이루어졌다. 이러한 모기업과 협력기업간의 성과물 공유제도는 구성원의 주인의식 고취 및 동기부여 강화는 물론 자발적인 상생협력분임조 혁신활동의 참여율 증가로 연계될 것이다.
또한 상생협력 발전을 위한 모기업 지원 시스템을 신설운영 해야 , 할 것이다. 협력기업의 능력향상을 위한 모기업의 기술개발 펀드지원, 설비지원, 안전 환경 개선지원 등의 상생협력 공유프로그램이 신설 및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상생협력분임조 혁신활동에 대한 동기부여와 성취감을 줄 수 있도록 회사의 특성과 설정에 맞는 인센티브제도를 운영해야 한다. 우수사례로는 SK하이닉스에서는 2015년 임금협상에서 임금 인상분의 20%를 협력기업 직원들의 처우 개선 및 안전보건 환경 개선에 지원하는 상생협력 임금공유 프로그램을 시행하기로 합의하였다.(Han, 2015)
더불어 사내 프로젝트 대회 개최를 통한 프로젝트 완료 격려금 지급 및 우수 상생협력분임조 표창 실시하며 구성원들의 노력에 따른 평가 시스템 및 인센티브제도 운영을 통해 구성원들의 자발적 참여를 높여야 한다. 이러한 인센티브제도 운영 및 시스템화는 구성원들의 자존감을 상승시키며 현장 전문가들인 구성원들을 통해 다량의 효율적 생산방식 개발을 이끌어 내어 현장의 기술력 강화가 곧 기업의 경쟁력 제고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가 될 것이다.

4.3. 상생협력분임조 혁신활동 단계별 활성화 측면

상생협력분임조 혁신활동 단계별 활성화를 위해서는 앞서 제시한 Table 2Table 3을 참고하여 혁신활동 단계별 핵심요소 분석 및 최적화된 접근방법이 필요하다. 특히, 윌슨과 네일슨(2001)이 표현한 혁신활동 단계별 프로세스 기술과 다양한 방법론의 활용을 통해 보다 직관적이고 강화된 상생협력분임조 혁신활동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혁신활동 단계별 활성화를 통해 혁신활동의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함은 물론 구성원들의 집중력 있는 참여를 이끌어 내어 올바른 결과물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기존 우수사례들에 대한 연구 활동 및 분석이 필요하다. 특히, 전국 품질분임조 경진대회 우수사례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단계별 상생협력 분임조 혁신활동 프로그램을 기획한다면 가장 효과적인 접근법이 될 것이다. 특히 동일 업종의 단계별 혁신활동들의 기술 및 활동 노하우를 연구 분석하고 각 기업들에 맞게 최적화를 실시한다면 각 기업만을 위한 특수성 있는 단계별 혁신활동들이 개발 될 것이다. 이러한 세분화된 혁신활동의 단계별 활성화를 통하여 기존 우수사례들의 지속적인 개선 및 다양화를 추진함으로써 상생협력분임조 혁신활동 모델을 더욱더 고도화시킬 것이다.

5. 결 론

우리나라 산업의 근대화 및 현대화 시기에서는 분임조 활동을 통해 현장개선활동을 중심으로 품질력 향상 및 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통한 끊임없는 발전을 이루어왔다. 특히 2013년 이후부터 신설된 기업 간 상생협력 부문은 동종, 이종산업 간 타 구성원들의 상생협력을 통해 새로운 기업의 성장 동력을 생산하며 새로운 패러다임을 개척해오고 있다. 또한, 한국표준협회에서는 전국 품질분임조 경진대회를 통해 ‘상생협력분임조 혁신활동’ 의 표준화 및 보급, 확산에 노력하고 있으며 이에 상생협력분임조 혁신활동 참여하는 기업들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상생협력분임조 혁신활동’ 의 올바른 행동 방법을 제시하기 위해 최근 3개년(2014년~2016년)동안 전국 품질분임조 경진대회 상생협력 혁신부문에서 ‘금상’을 수상한 총 18개를 대상으로 우수 사례들을 분석하고 문제점들에 대한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분석내용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상생협력분임조 혁신활동 활성화’를 위해 추가적으로 3가지 측면에서 제도개선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지속적인 제도강화 및 확대 노력들은 결국 협력기업의 발전을 통한 모기업의 성장을 이끄는 상생협력분임조 혁신활동의 본래의 목적에 첪실한 접근일 것이다. 또한 모기업과 협력기업의 상호 유대관계 증대 및 상생협력을 통한 동반성장의 가치를 실현하고 기업 성장의 상승곡선을 지속시킬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상생협력분임조 혁신활동의 활성화는 급변하는 글로벌 기업 생태계에서 조직의 지속적인 생존과 발전을 위한 매우 중요한 전략으로 추구 될 것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모기업과 협력기업의 자발적 상생협력분임조 혁신활동을 통한 기업 가치 상승을 유도한 우수사례 분석하였으며 문제점 및 추가제안을 통해 상생협력 혁신활동의 올바른 메커니즘을 안내하였다. 하지만 최근 3개년(2014년~2016년)의 사례로 분석한 것으로 일반화시키기에는 논리적으로 한계가 있다. 이점은 앞으로 사례가 풍부하면 새로 분석할 예정이며 좀 더 많은 모집 군을 대상(중소기업, 공공기관 포함)으로 산업생태계 전반에 대하여 상생협력분임조 혁신활동의 다양한 자료 분석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REFERENCES

Charles, H. Fine 1998. Clockspeed: Winning Industry Control In the Age of Temporary Advantage. Basic. New York.

Han, Duhyeon 2015. Circle activities of Win-win Partnership for Cooperation Among Large Enterprises and Suppliers. Quality and Creativity November: 18-25.

Hwang Taeho, 2015. We are the Best Troubleshooter of Industry. Dong-A Newspaper, September 1 http://knqa.ksa.or.kr/knqa/2325/subview.do.

KASBS(Korean Association of Small Business Studies) 2009. A Study on the Enhancement Plan of Corporate Ecosystem Competitiveness and Win-win Partnership. Paper presented, Seoul, June 30.

Kim, Sangpil 2015. The Impotance of Shared Duties and Win-win Partnership. Quality and Creativity May. 18-25.

KJCF(Korean-Japan Cooperation Foundation for Industry and Technology) 2011. A Report on the Implications of Japan's Win-win Partnership. Paper presented at meeting, Seoul, March 24.

KNQA(Korean National Quality Award) 2014. The Best Win-win Partnership Award in the National Quality-Circle Contest. http://knqa.ksa.or.kr/knqa/2294/subview.do.

KNQA(Korean National Quality Award) 2015. The Best Win-win Partnership Award in the National Quality-Circle Contest. http://knqa.ksa.or.kr/knqa/2294/subview.do.

KNQA(Korean National Quality Award) 2016. The Best Win-win Partnership Award in the National Quality-Circle Contest.. http://knqa.ksa.or.kr/knqa/2294/subview.do.

KNQA(Korean National Quality Award) 2016. Quality Management Theory. http://www.q-korea.net/qmanage/qmanage_qhrm/qmanage_q_division/tab1/.

KSA(Korean Standards Association) 2017. An Examination Guidelines of National Quality-Circle Contest. http://knqa.ksa.or.kr/knqa/2297/subview.do.

Lee, Kangin 2015. A Study on the Birth of Win-win Partnership and the Directions for the Future. Quality and Creativity April. 21-28.

Lee, Kangin 2015. Indispensable Win-win Partnership, Understand the Conception. Quality and Creativity March. 24-35.

Lee, Kangin 2016. Company! The Key of Competitiveness is the Activity of Quality-Circle. Quality Management May. 29-36.

Nonaka, Ikujiro 1995. The knowledge-Creating Company, Translated by Jung, Eunyeong. Sejong. Seoul.

Yang, Heejoong 2016. Research on the Recent Tendency of Quality Circle Papers and Improvement Pla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Quality Management 44(4):845-853.
crossref pdf

Figure 1.
The goal of the Win-win Partnership innovative activity
jksqm-45-3-561f1.gif
Figure 2.
Stage table details of win-win partnership innovative activity
jksqm-45-3-561f2.gif
Figure 3.
Example of values and current condition of operation about win-win partnership innovative activity (KNQA a, 2016)
jksqm-45-3-561f3.gif
Figure 4.
Example of special activity about win-win partnership innovative activity(KNQA, 2015; KNQA a, 2016)
jksqm-45-3-561f4.gif
Figure 5.
Example of top down system of topic selection(KNQA, 2015)
jksqm-45-3-561f5.gif
Figure 6.
Example of bottom-up system of topic selection for Flow-chart
jksqm-45-3-561f6.gif
Figure 7.
Example of diagnostic checking about bottom-up system of topic selection(KNQA, 2015)
jksqm-45-3-561f7.gif
Figure 8.
Example of topic selection about cooperation enterprise proposal system(KNQA, 2014)
jksqm-45-3-561f8.gif
Figure 9.
Example of the objective data about the theme selected background(KNQA, 2014; KNQA a, 2016)
jksqm-45-3-561f9.gif
Figure 10.
Example of background about win-win partnership innovative activity(KNQA, 2015)
jksqm-45-3-561f10.gif
Figure 11.
Example of the objective data about the theme selected background(KNQA, 2015)
jksqm-45-3-561f11.gif
Figure 12.
Example of the objective basis about the goal setting(KNQA, 2014)
jksqm-45-3-561f12.gif
Figure 13.
Example of improvement countermeasure phase(KNQA, 2014)
jksqm-45-3-561f13.gif
Figure 14.
Example of improvement countermeasure implementation _examples of PLAN phase(KNQA, 2015)
jksqm-45-3-561f14.gif
Figure 15.
Example of improvement countermeasure implementation_examples of DO phase(KNQA a, 2016)
jksqm-45-3-561f15.gif
Figure 16.
Example of improvement countermeasure implementation_examples of CHECK phase(KNQA, 2014; KNQA, 2015; KNQA a, 2016)
jksqm-45-3-561f16.gif
Figure 17.
Example of additional improvement countermeasure& implementation(KNQA a, 2016)
jksqm-45-3-561f17.gif
Figure 18.
Example of improvement countermeasure implementation_example of ACTION phase(KNQA a, 2016)
jksqm-45-3-561f18.gif
Figure 19.
Example of effect grasp(tangible effect/intangible) effect(KNQA a, 2016)
jksqm-45-3-561f19.gif
Figure 20.
Example of benefit sharing method about Win-win Partnership innovative activity(KNQA, 2014; KNQA, 2015; KNQA a, 2016)
jksqm-45-3-561f20.gif
Table 1.
Tangible effects and number of Statistical tools used (Yang, 2016)
year no. of analyzed papers (unit) avg. amount of effects (million won) avg. no. of used stat. tools (unit)
2011 13 380 1.31

2012 12 412 1.58

2013 11 438 1.58

2014 11 518 1.54

2015 9 887 1.70

total 56 2,635 -
jksqm-45-3-561i1.gif
Table 2.
Mutual cooperation & development of relationship model
division activity phase methodology
Ford (1978) the relationship the early stage the developm ent stage the long-term phase the final stage the interview by scenario

Dwyer et al. (1987) recognition investigation expansion expansion cessation exchange theory, coupling theory, negotiation theory, power theory

Ellram (1991) the preliminary stage The potential partner confirmation planning and review relation formation and task performance relation assessment sustainability Observations about the business success

Ring and van de Van (1994) negotiation immersion execution sustainability exchange theory (Dynamism of the deal)

Pavatiyar and Sheth (2000) formation management and governance result evaluation evolution Conceptual Review of other Development of the relationship model

Wilson & Neilson (2001) partner preference purpose definition setting of th related area creation of value relation maintenance of relation (benefit sharing) Competition theory, coupling theory ,negotiation theory, Observations about the business success
Table 3.
Problem solving process contents of mutual cooperation field suggested by Ellram
item problem resolution step specific development contents note
order
1 advance phase establishment of company-wide Win-Win strategic partnership corporate vision, business strategy, Quality Principles

2 the potential partner confirmation the selection of strategic partnership company purchasing strategy, the company’s reputation, credit rating, technical skills, etc.

3 planning and review the selection of members in strategic partnership company members’s technology related qualification, manpower/schedule, etc shared duties

4 relation formation and task performance mutual lack of idea technology, manpower, etc supplementation Participation level, complementation outcome of the Win-Win technology

5 relation assessment tangible or intangible shared added value assessment tangible or intangible shared added value creation or annulment

6 sustainability problem-solving challenges for mutual creation of tangible or intangible shared added value company-wide maintenance of relation
Table 4.
The best win-win partnership award in NQC contest for three-year (2014~2016)
year company cooperation company circles effect
tangible effect (million won) intangible effect
1 2016 SK hynix_Icheon ISC T2_TOP 736 - inspiring circles pride
- achieving No.1 market share

2 2016 Hyundai-Steel Co Korea Refractories Co Bulgama 2,452 - a patent application
- inspiring circles pride

3 2016 KOLON CORPORATION Daewon Hanumul 40 - talented person reward
- problem-solving ability improvement

4 2016 KUMHO TIRES CO Saeeun Union 258 - business competitive power improvement
- inspiring circles pride

5 2016 Samsung Electronics TSTC Co Samwoo Talbaggum 418 - business competitive power improvement
- inspiring circles pride

6 2016 Seoyeon Ewha Co Sinjin ENG, Hanjin pl Hyuksin 55 - business competitive power improvement
- Customer reliability securement

7 2015 KOLON CORPORATION Daewoon Hawnggum 66 - inspiring circles pride
- problem-solving ability improvement

8 2015 SK hynix_Icheon Techwing SWAT 1,368 - inspiring circles pride
- overseas plant same applies

9 2015 LS Mtron Co KS mattdol 229 - all staff 5S 1st class
- business competitive power improvement

10 2015 Dongheeauto Co Daehan solution Didimdol 126 - inspiring circles pride
- problem-solving ability improvement

11 2015 Samsung Electronics Hyeju Co - Concert 358 - problem-solving ability improvement
- business competitive power improvement

12 2015 Commax Co Dadam micro, Se-kye electronics, Samhyun electronics Sangbo sangjo 45 - problem-solving ability improvement
- business competitive power improvement

13 2015 COSMO ADVANCED MATERIALS & TECHNOLOGY Co ATLASBX CO Bunge 626 - inspiring circles pride
- business competitive power improvement

14 2014 SK hynix_Cheongju Engion Co Seupipeo 2,710 - patent application
- Secretary of ministry award

15 2014 SK hynix_Icheon ISC, FTS TMAP 581 - inspiring circles pride
- patent application

16 2014 KOLON CORPORATION Chungrim Co Dolpung 21 - inspiring circles pride
- quality improvement

17 2014 Samsung Electronics Hyeju Co - Chonlima 358 - problem-solving ability improvement
- business competitive power improvement

18 2014 Han Il E-Wha Co Sinjin ENG, Hanjin pl Tucson 87 - inspiring circles pride
- overseas plant same applies
Table 5.
Summary of the criteria for judging at win-win partnership award in the NQC contest in 2017
Inspection item scoring note
1 suitability of topic selection and activity plan 16 4 questions

2 grasp the current situation and cause analysis 40 5 questions

3 improvement countermeasure and implementation 22 3 questions

4 identify the effects and share of result 12 4 questions

5 writing manuscript and quality of announcement 10 5 questions

total 100
Editorial Office
13F, 145, Gasan digital 1-ro, Geumcheon-gu, Seoul 08506, Korea
TEL: +82-2-2624-0357   FAX: +82-2-2624-0358   E-mail: ksqmeditor@ksqm.org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for Quality Management.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