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Quality Management > Volume 50(3); 2022 > Article
도농복합지역 주민의 사회자본, 공동체의식 및 주민만족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the importance and role of social capital in the local community, and empirically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the social capital, community spirit, resident satisfaction, and community participation of the residents of urban-rural complex areas.

Method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was conducted with residents of the urban-rural complex areas to collect data, and the data were statistically and empirically analyzed to verify the hypothesis.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networks and trust as local social capital were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local attachment. Second, networks and trust were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social ties. Third, local attachment and social ties were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resident satisfaction. Finally, community participation was found to have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ties and resident satisfaction.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the importance and role of local social capital in urban-rural complex areas, where regional problems are highly likely to occur, were reviewed, and basic data necessary to solve the social problems at hand in urban-rural complex areas and promote continuous development were provided can be said to b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1. 서 론

오늘날의 현대사회는 급변하는 환경으로 인해 다양성과 복잡성을 지닌 사회문제가 지속적으로 파생되어 나타나고 있으며, 이러한 사회문제를 해결하고 지역사회를 활성화하기 위한 대안으로 지역사회의 핵심주체라 할 수 있는 지역 주민의 적극적인 지역사회 참여가 강조되고 있다(황명주ㆍ김형수, 2019).
특히, 도시재생 뉴딜정책이나 주민참여 예산제와 같은 주민의 참여가 핵심이 되는 정책들이 추진되면서 지역주민의 지역사회 참여 활동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최희용, 정문기, 2019). 지역의 발전을 위한 여러 정책과 서비스 활성화는 지역에 대한 개인의 애착을 기반으로 하는 주민 참여도에 따라 차이가 발생한다. 특정 대상에 대한 애착 수준이 높아질수록 대상과의 일체감을 형성하기 위해 커뮤니티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자 하는 의도가 향상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지역사회서비스 활성화와 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 제시는 지역에 대한 주민의 애착심을 기반으로 하는 지역주민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수적이라고 볼 수 있다(Lewicka, 2011; 김희진 등, 2017).
특히 지역개발의 관점에서 시작된 도농복합지역은 도시와 농촌의 지역적 요소가 공존하기 때문에 새로운 지역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므로 지역 특성에 부합하는 해결책이 모색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해당 지역에 대한 경험이 풍부한 주민들의 참여가 반드시 동반되어야 한다. 따라서 도농통합지역을 배경으로 주민들의 지역사회 참여 의도와 관련해서 살펴보는 것은 도농복합지역의 고유한 특성을 재발견하고, 지역사회 문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배은석ㆍ박해긍, 2016).
도농복합지역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요소가 필요한데 그중 가장 중요한 것이 지역사회자본이다. 사회자본이 지역사회발전과 관련돼 논의되고 있는 가장 큰 이유는 사회적 자본이 지역사회 안에서 주민들의 공감대 및 지역사회 공동체를 형성하는데 기여할 뿐만 아니라 규범과 같은 공식적인 기능과 함께 비공식적인 기능도 포괄하여 관계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소진광, 2004).
이렇듯 지역사회의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고, 지속적인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지역에 대한 애착과 사회적 유대에 기반을 둔 지역주민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수적이라 할 수 있으며 이에 지역사회자본의 중요성과 역할이 부각되고 있다. 사회자본은 지역사회에서 주민들의 공감대 및 지역사회 공동체를 형성하는데 기여할 뿐만 아니라 구성원들 간의 믿음을 바탕으로 한 관계망을 형성하고 상호협력을 통해 사회문제 또는 공공의 문제를 해결 및 개선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Coleman, 2000; 황명주ㆍ김형수, 2019).
따라서 본 연구는 도시와 농촌의 특성이 공존하는 도농복합지역을 배경으로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주민들의 지역사회 참여의도와 관련해서 주민 만족에 미치는 영향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도농복합지역 주민의 사회자본, 공동체의식 및 주민만족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을 연구의 주요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사회자본이 지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논의를 시작으로 사회자본이 지역사회의 문제들을 해결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회적 기반에 따른 주민들의 공동체의식과 지역참여도에 영향을 미치는 전략적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2. 이론적 배경

2.1 도농복합지역

도농복합이란 농촌의 지역적 요소와 도시의 지역적 요소가 공존하는 곳으로 규정된다(소광섭, 2007). 지역개발의 관점에서는 도농복합을 도시와 농촌을 산업 활동, 생산 및 소비양식 등 지역의 상공, 문화, 각종 편익과 농촌의 환경, 여가, 생산 등서로의 역할과 기능이 보완되도록 유기적으로 연계․개발하는 지역을 개발하기 위한 전략적 시도라 할 수 있다. 또한 행정적 차원에서의 도농복합지역은 도시와 농촌을 공간적으로 접근시켜서 유기적으로 하나의 통합된 생활권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도시와 농촌을 중심지 그리고 배후지라는 이분법적 관계에서 양쪽 지역에 내재하고 있는 우선기능을 상호 보완하고 교환하는 상호의존적인 관계로 발전시키려는 것이다(배은석·박해긍, 2016). 최근 들어 도농복합지역은 출범 시 검토되지 못한 다양한 문제점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도농복합지역으로 개편이 지역경제 활성화와 도시개발, 그리고 효율적인 행정구역 개편을 중심으로 하여 추진되면서 지역사회(community) 단위와 지역주민 차원을 고려하지 못한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이향미, 2019). 지역사회 주민들이 경험하게 되는 도농복합지역의 사회문제들로는 사회복지자원의 쏠림 현상과 오랫동안 거주한 지역주민과 새롭게 이주해 온 주민들 간의 갈등, 사회복지 관련 재정 확보 등의 어려움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지역사회 차원에서 주민의 일체감과 연대의식 약화는 도농복합지역을 주제로 하는 많은 연구에서 동일하게 지적하고 있는 문제이다. 도농복합지역이 출현으로 확인된 성과와 함께 출범 시 미처 고려하지 못한 새로운 문제점들에 대해 지역사회가 스스로 해결 및 개선하고 지역사회에서 그 성과가 지속적으로 유지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 주민들의 일체감과 공동체의식, 그리고 지역사회 참여가 반드시 동반되어야 함을 지적되고 있다(배은석ㆍ박해긍, 2016).

2.2 사회자본

사회자본은 사회구성원과 집단 간 상호관계의 질과 특성을 나타내는 개념으로 사회구성원들이 공동으로 이익을 얻기 위해서 협력 및 참여함으로 생산적인 상호작용을 하는 무형자산으로 볼 수 있다.
사회자본이 지역사회발전과 관련하여서 중요하게 논의되고 있는 가장 큰 이유는 사회자본이 사회구성원들 안에서 공동으로 소유하고 추구되는 포섭적, 상호적 속성을 지닌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즉, 사회자본이 지역사회 내 구성원들의 공감대를 형성하고 지역사회 공동체를 형성하는 근간이 되는 과정에서 생산력을 증대시켜주는 제도뿐만 아니라 규범인 비공식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사회적 관계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소진광, 2004).
사회자본은 개인의 사회적 네트워크와 사람들이 공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상호신뢰를 의미하는 다차원적 구조로 정의된다. 사회적 자본의 구성요소로서 네트워크는 개인이나 집단 등 행위자들이 맺고 있는 전반적인 연계 형태를 의미하며 집단 내 유대 관계를 돈독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박희봉 등, 2003). 그러므로 네트워크는 사람들 사이의 유대를 기반으로 연결된 개인이나 집단과 같은 행위자들 간의 전반적인 관계 형태를 의미하는 관계구조라 할 수 있다(Putnam, 1993; 원동재ㆍ김태룡, 2013). 또한 규범은 사회질서를 안정적으로 유지해 나가기 위하여 사회구성원들이 지켜야 할 행동 규칙들로 행동 일부분에 제한을 줄 수도 있다. 즉, 규범은 조직구성원들 간의 공통된 목적을 향하여 협력을 도모하여 목표를 달성함과 동시에 조직의 안정을 확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Fukuyama, 2001; 황명주ㆍ김형수, 2019). 그리고 신뢰는 사람들이 서로 공유하고 있는 기대로서, 타인이 자신의 기대에 맞지 않는 말과 행위를 하거나 신념을 갖지 못할 것이라는 주관적 믿음으로 정의할 수 있다(Coleman, 1988). 신뢰는 조직의 협력을 촉진하면서 사회결속을 달성하는 데 있어 전제되고 있다. 조직구성원들은 조직과 개인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상호관계를 맺으며 협력하고 영향력을 행사하면서 상호 의존적인 관계를 형성한다(Fukuyama, 2001).

2.3 공동체의식

일반적으로 공동체의식은 공동체 안에 소속되어 있는 개개인의 구성원들이 갖게 되는 공통된 의식을 말한다. 즉 공동체의식은 공동체의 구성원들 안에서 다양한 상호작용을 통해서 비로소 공동체에 소속됨을 느끼고, 공동체와 서로 간의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느끼며, 친밀감을 경험하면서 형성되어진다. 따라서 공동체에서 개인이 느끼는 친밀감은 지역사회가 나의 욕구를 충족시켜준다는 만족감과 지역구성원으로서의 소속감, 지역사회에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상호영향의식으로 연결되며 나아가 공동체 구성원의 참여에 이르게 된다(박지인, 2021).
지역사회에서 공동체는 매우 중요한 지역발전을 할 수 있는 모태이며, 특히 지역발전에 있어서 지역공동체의 역할은 중요성이 더욱 강조될 것이다. 지방자치에 있어 지방자치제도가 주민자치로서의 제대로 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 정당한 요구를 할 수 있는 주민들의 역량과 의식, 그리고 주민들의 요구를 정부에 효과적으로 전달해 줄 수 있는 제도적 확립이 기본적으로 마련되어야 한다고 할 수 있다(이강혁, 2017). 공동체의식에 관한 선행연구를 종합하면, 지역 공동체의식은 동일한 지역성을 공유하며, 구성원들 간의 상호작용을 통한 복지사업의 협력을 끌어내며 지역의 발전을 향상하는 하나 된 집단적 의식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소속감과 장소 애착, 욕구충족 및 상호영향, 사회적 유대라는 틀 속에서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어야 조직의 활성화가 이루어질 것이다(황명주, 2020).
지역공동체 의식과 관련된 구성요인으로서 공간적 그리고 지역적 관점에서 접근하게 되면 소속감 및 지역애착이라고 할 수 있다. 먼저 소속감은 자신이 소속된 공동체에 대한 개인이 지각하게 되는 귀속적 감정이라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개인은 자신이 속한 해당 공동체와의 관계성을 파악할 수 있다(황명주, 2020).
공동체의식과 관련된 선행연구에서 공동체에서의 구성원들 간의 상호작용 및 유대관계는 중요한 요인으로 제시되어지고 있다. 상호영향 의식이란 구성원들이 상호관계를 통ㅎ애 지속적으로 쌓은 신뢰와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구성원들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서로간의 믿음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사회적 유대는 지역사회 구성원들 간의 상호작용과 유대 관계의 복합적 개념이라 할 수 있다(황명주, 2020).
이와 같이 사회적 유대는 지역사회 내 구성원 간의 상호작용과 유대 관계의 복합적인 개념으로, 사회적 유대는 지역사회 내 구성원의 욕구 및 요구수준의 충족 및 통합을 의미하며, 이는 정서적 유대를 강화하고 연대하는 계기를 마련하는 등의 구성원들의 역사와 장소, 시간 및 경험 등을 공유하는 믿음 또는 헌신이라고 할 수 있다(이강혁, 2017; 황명주, 2020).

2.4 지역사회참여

지역사회 참여란 주민 및 지역사회조직이 일정한 지역사회 내에서 정부의 정책이나 계획의 의사결정 과정에 영향력을 미치기 위해 수행되는 제반 활동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민소영ㆍ이영순, 2014). 지역사회의 문제 해결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지역주민 스스로의 노력 없이 외부의 지원만으로는 어렵기 때문에 지역사회에서의 주민참여는 필수적이다(전미리, 2019). 주민참여는 경제적 결정 과정으로부터 배제되어 권력을 지니지 못한 주민들을 의도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하는 권력의 재분배, 즉, 정보의 배분, 목표와 정책의 형성, 자원의 배분과 사업의 집행방법을 결정하는 과정에 참여하지 못한 사람들을 위한 전략과 주민참여를 기본적으로 자신의 거주지역의 정책결정 과정에 참여하여 자신들의 의사를 반영하는 것으로 보고 사회적으로 소외된 약자들의 직접적, 자발적, 실질적인 의사반영이 참여의 핵심가치가 된다(March & Lehrer, 2019; Chen et al., 2020). 이는, 경제적 결정과정에서 직접적인 주민참여를 확대한다면 자원의 재분배와 사업의 집행 방법이 긍정적 측면으로 진행된다는 것을 의미한다(윤형자ㆍ정희영, 2020).

2.5 주민만족

지역의 주민 만족은 지역공동체 안에서 개인이 지역사회에 대한 기여 정도에 따라서 받게 되는 보상의 수준에 의해 발생하는 인지적 상태로서, 결과에 대한 기대와 결과에 대한 인식이 일치하지 않을 때 느끼게 되는 심리상태로 정의할 수 있다. 주민 만족은 지역사회 주민의 삶의 질을 평가하는 중요한 변수로서(김두순 등, 2017; 박영순 등, 2020), 주민만족도는 해당 지역에서 생활을 하고 있는 주민이 생활환경 속에서 느끼는 인식의 차이에 대한 정서적 표현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주거만족도는 인간의 궁극적인 삶의 질 및 행복과 연계되어 있으며 주민만족도는 주민들의 경험을 통해서 만족 및 행복을 가져오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김환호, 2021).

3. 연구 설계

3.1 연구모형 및 가설설정

사회자본은 사회구성원과 집단 간 상호관계의 질과 특성을 나타내는 개념으로 사회구성원들이 공동으로 이익을 얻기 위해서 협력 및 참여함으로 생산적인 상호작용을 하는 무형자산으로 볼 수 있다. Lewicka(2011)는 사회적 자본이 ‘지역’을 주민들에게 조금 더 ‘의미 있는 장소’(meaningful place)로 인지하게 하여 지역 애착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정은(2019)은 지역축제를 대상으로 사회자본이 주민의 지역 애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고, 지역사회의 공공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애착감을 느낄 수 있도록 지역에 맞는 사회적 자본이 형성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였다. 박희봉과 김명환(2001)의 지역사회의 사회자본을 규범, 신뢰, 협력 및 정보공유로 제시하고, 주민들의 정치 및 사회봉사 참여가 높을수록 사회자본으로서 규범, 신뢰, 집단 내 협력의 정도가 높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성행연구들의 논의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1. 사회자본은 지역애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2. 사회자본은 사회적 유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지역사회에서 구성원 간의 사회적 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공동체 활동은 구성원의 삶의 행복감, 만족감 등과 밀접한 연관 관계를 지닌다. 따라서 지역사회 구성원의 삶의 만족과 행복추구에 있어서 공동체 구성원들과 상호작용을 통하여 느끼는 소속감의 중요성이 중요하며(Honneth, 1994), 삶의 질 향상과 만족은 사람들과의 사회적 관계 속에서 서로의 생각을 공유하고 함께하는 과정에서 형성된다고 밝혔다(Nettle, 2006). 따라서 공동체의식과 주민 만족에 관한 선행연구에서 지역사회에 대한 애착 및 사회적 유대감, 즉 공동체의식의 형성은 지역주민의 삶의 만족 및 행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Helliwell, 2003; Crowe, 2010; Grillo et al., 2010; Hombrados‐Mendieta et al., 2013; 배은석 등, 2017; 박성복ㆍ이남율, 2018; 박영순 등, 2020).
가설3. 지역애착은 주민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4. 사회적 유대는 주민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지역사회 참여는 각종 정책 및 서비스가 원활하게 제공되어 지역사회 발전을 이루기 위해 가장 대표적으로 고려되고 있는 요인이다. 시민의 정치참여는 사회자본의 영향력을 확장시킬 수 있다. 배은석과 박해긍(2016)은 농촌 지역 주민들의 공동체 의식은 지역사회에 참여하고자 하는 의지를 높이는데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윤형자, 정희영(2020)은 지역사회에서 주민들의 공동체의식과 충족감이 높으면 높을수록 주민참여가 높은 것으로 확인하였다. 임경환(2020)은 지역주민의 공동체의식과 주민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에서 공동체의식의 통합과 충족, 구성원 의식은 주민참여에 모두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곽현근(2008)은 지역애착이 지역 내 주민의 사회참여를 유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지혜 등(2009)은 지역애착도가 주미참여도의 주요 선행요인임을 확인하였다. 강순화 등(2012)의 연구에서는 애착심이 높은 지역주민일수록 지역 행사에 긍정적인 태도를 보인다고 밝혔다.
이러한 선행연구들은 주민이 지역사회에 대해서 갖는 애착도가 지역 문제에 관한 관심과 참여를 유도하는 촉매 역할로 작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5. 공동체의식과 주민만족 간에 관계에서 지역사회 참여는 조절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3.2 측정도구

본 연구는 도농복합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사회자본, 공동체의식, 지역사회 참여, 그리고 주민만족 간의 구조적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변인들의 조작적 정의와 측정항목은 개발하였다.
먼저 사회자본은 Coleman(1988), Tsai & Ghoshal(1998), Nahapiet & Ghoshal(2000), Waston & Papamarcos(2002), 황명주와 김형수(2019)의 연구를 참고하여 조작적 정의하고 측정문항을 개발하였다. 사회자본의 하위차원으로써 네트워크는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지역사회 구성원들 간의 사회적 상호작용의 결속 정도”로 정의하고, '서로 가까이 지냄', '의사소통이 원활함', '필요한 정보를 서로 공유함', ‘긴밀하게 협력함'의 4개 문항으로 측정하였다. 다음 규범은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사회구성원들이 지켜야 할 행동규칙의 정도”로 정의하고, ‘규범과 규칙이 확립되어 있음’, ‘규범과 규칙을 준수하기 위해 노력’, ‘질서가 잘 확립되어 있음’, ‘성숙한 시민의식을 가지고 있음’의 4개 문항으로 측정하였다. 다음 신뢰는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지역사회 구성원들 간의 서로에 대한 기대 혹은 믿음의 정도”로 정의하고, ‘서로 신뢰하고 있음’, ‘약속을 잘 지킴’, ‘서로 의지 할 수 있음’, ‘어려운 일이 있을때 서로 도움’의 4개 문항으로 측정하였다.
다음으로 공동체의식은 Tartaglia(2006), 배은석과 박해긍(2016), 김두순 등(2017), 김은아(2015), 박덕병 등(2018)의 연구를 참고하여 조작적 정의하고 측정문항을 개발하였다. 공동체의식의 하위차원으로서 지역애착은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심리적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된 긍정적인 감정의 정도”로 정의하고, ‘살고 있는 지역을 좋아함’, ‘지역을 자랑스럽게 생각함’, ‘지역은 안전한 곳임’, ‘지역은 다른 지역 보다 살고 좋음’의 4개 문항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사회적 유대는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정서적 유대를 강화하고 공유하는 믿음 및 헌신의 정도”로 정의하고, ‘살고 있는 지역을 좋아함’, ‘지역의 이웃은 겸손하고, 예의가 바름’, ‘도움이 필요한 누군가에게 도움을 줄 수 있음’, ‘지역은 아름다운 풍속과 전통이 있음’의 4개 문항으로 측정하였다.
다음 지역사회 참여는 배은석과 박해긍(2016), 임경환(2020), 박영순 등(2020)의 연구를 참고하여 “지역사회 내에서 수행되는 제반 활동 정도”로 정의하고, ‘주민투표에 적극적으로 참여’, ‘의견을 적극적으로 개진’, ‘토론/협의에 적극적으로 참여’, ‘주민조직에 적극적으로 참여’의 4개 문항으로 측정하였다.
다음 주민만족은 Oliver(1981), 박성복과 이남율(2018), 박영순 등(2020)의 연구를 참고하여 “지역주민의 전반적인 지역에 대한 만족의 정도”로 정의하고, ‘우리 지역 이웃과의 관계에 만족함’, ‘우리 지역에서의 주거생활에 평안함을 느낌’, ‘우리 지역에 애착을 가지고 오래 살고 싶음’, ‘우리 지역에 사는 것에 대행 전반적으로 만족’의 4개 문항으로 측정하였다.

3.3 연구방법

본 연구는 제안한 이론적 모형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도농복합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통계적으로 실증 분석하는 방법을 활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측정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 소규모 표본에 대한 예비 조사를 먼저 실시하고 이를 토대로 측정 도구를 수정 및 보완한 후 표본을 확대하여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수집된 자료는 SPSS 24.0과 AMOS 24.0을 분석 도구로 사용하여 자료를 점검하고, 구조방정식 모델링(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을 분석방법으로 적용하여 결과를 분석하고 가설을 검정하였다. 구조방정식 모델의 분석은 측정모형을 먼저 추정하고, 다음으로 구조모형을 추정하는 2단계 접근법(two-step approach)을 채택하여 측정모형과 구조모형의 적합성을 단계적으로 검증하고, 이를 바탕으로 결과를 분석하였다.

4. 실증분석

4.1 자료수집 및 표본의 구성

본 연구는 제안한 연구모형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도농복합지역 경기도 남동부 주민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통계적으로 실증 분석하였다. 설문 기간은 2021년 6월부터 2021년 7월까지 약 2개월간 온라인 전자 우편을 활용하여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총 300개의 설문을 회수하고, 수집된 자료 중 결측값이 있거나 불성실하게 응답한 자료를 제거한 후 최종 282개 사례를 본 연구의 유효 표본으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4.2 측정모형의 검증

본 측정모형의 검증으로서 측정모형의 적합도와 구성 개념의 타당성 및 신뢰성을 검증하였다. 먼저 측정모형의 적합도 검증결과, χ2 = 542.913, df = 237, χ2/df = 2.291, RMR = .072, GFI = .859, CFI = .946, TLI = .937, RMSEA = .068로 전반적으로 적합도 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 집중타당성과 신뢰성, 그리고 판별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검증결과, <Table 2>와 같이 모든 측정문항의 표준화계수 값이 모두 .5 이상, 개념신뢰도는 .861~.884로 모두 .7 이상, 평균분산추출지수는 .608~.656으로 기준치 .5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나 기준치를 충족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모든 구성개념의 Cronbach’s alpha 값도 기준치 .7을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나 구성개념의 집중타당성 및 신뢰성은 확보되었다고 판단하였다.
그리고 판별타당성 검증을 위하여 변수 간의 상관계수와 변수별 AVE 값을 비교한 결과, <Table 3>과 같이 AVE 제곱근이 상관계수들보다 크게 나타나 판별타당성을 확보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4.3 가설검증

본 연구는 사회적 자본(네트워크, 규범, 신뢰)과 지역사회 애착, 사회적 유대, 주민만족 사이의 구조적인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가설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먼저 사회적 자본이 지역사회 애착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된 가설 1 검증 결과, 지역사회 애착에 대한 네트워크의 표준화 경로계수는 .241(t = 2.63, p<.001), 지역사회 애착에 대한 신뢰의 표준화 경로계수는 .354(t = 2.814, p<.01)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따라서 가설 1-1의 ‘네트워크가 지역사회 애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와 가설 1-3의 ‘신뢰가 지역사회 애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채택되었다. 하지만 지역사회 애착에 대한 규범의 표준화 경로계수는 .048(t = .487)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나 가설 1-2는 기각되었다.
다음, 사회적 자본이 사회적 유대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된 가설 2 검증 결과, 사회적 유대에 대한 네트워크의 표준화 경로계수는 .274(t = 3.518, p<.01), 사회적 유대에 대한 신뢰의 표준화 경로계수는 .512(t = 4.266, p<.001)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따라서 가설 2-1의 ‘네트워크가 사회적 유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와 가설 2-3의 ‘신뢰가 사회적 유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채택되었다. 그러나 사회적 유대에 대한 규범의 표준화 경로계수는 –.057(t = -.618)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나 가설 2-2는 기각되었다.
다음, 주민만족에 대한 지역사회 애착의 표준화 경로계수는 .397(t = 5.072, p<.001)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남에 따라 가설 3 ‘지역사회 애착은 주민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채택되었다. 이는 지역사회에 대한 애착 수준이 높을수록 주민의 만족도가 증가됨을 의미한다.
다음, 주민만족에 대한 사회적 유대의 표준화 경로계수는 .372(t = 4.724, p<.001)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따라서 가설 4 ‘사회적 유대는 주민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채택되었다. 이는 사회적 유대 수준이 높을수록 주민의 만족도가 증가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다음은 공동체의식과 주민만족간의 관계에서 지역사회 참여 수준에 따른 조절효과 검증을 위하여 다중집단분석을 이용하였다. 이를 위해 지역사회 참여에 대한 평균점수(4.46)를 기준으로 평균보다 낮은 점수를 가진 집단을 저집단(Low group), 높은 점수를 가진 집단을 고집단(High group)으로 설정한 후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검증결과 사회적 유대와 주민만족(집단 간 경로차이 t = -2.2) 간의 경로에서 지역사회 참여 수준에 따라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지역사회 참여 수준이 낮은 집단에서는 사회적 유대가 주민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지역사회 참여 수준이 높은 집단에서는 사회적 유대가 주민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지역사회에 참여하는 수준이 높은 집단보다 낮은 집단에서 주민만족도에 사회적 유대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지역사회 참여 수준이 높은 집단의 경우 사회적 유대가 이미 강하게 형성되어 있어 만족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차별적인 요인이기보다는 당연적 요인이라고 생각된다.

5. 결 론

본 연구는 오늘날 지역사회에서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지역주민의 참여를 촉진시킬 수 있는 영향요인을 탐색하고자, 지역의 사회자본, 공동체의식 및 지역사회 참여의 조절효과를 토대로 주민만족 간의 영향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른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결과, 사회자본으로서 네트워크와 신뢰는 공동체 의식으로서 지역애착과 사회적 유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새로운 지역 형태인 도농복합지역에서는 지역사회의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고 그 성과가 계속적으로 지속되기 위해서는 서로 간의 믿음을 바탕으로 한 관계망의 형성을 구축하고 상호협력을 통하여 공공의 문제를 해결하는 역할을 담당한다는 점에서 사회적 자본의 하위차원 중 네트워크와 신뢰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규범은 지역애착과 사회적 유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사회질서의 유지를 위해 지켜야 하는 규범이 공동체의 조직 구성원들의 행동 일부분을 제한할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또한 지역애착과 사회적 유대는 주민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역 공동체의식과 주민만족 간의 관계를 검증한 선행연구와 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지역 공동체의식으로서 지역애착과 사회적 유대가 주민만족의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개인의 삶의 질은 지역 회의 공동체의식 안에서 형성되며, 타인과 공공의 가치, 신념 그리고 사회적 인정 등을 상호 교류하는 것은 인간 생존을 위한 필수 조건이면서 행복 추구의 근본인 것이다. 즉 삶의 질 향상과 만족은 사람들과의 사회적 관계 안에서 서로의 생각을 공유하고 함께하는 과정에서 형성된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사회적 유대와 주민만족 간의 관계에서 지역사회 참여는 유의한 조절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도농복합지역에서 새롭게 발생하는 문제를 지역사회 스스로 해결하고, 그 성과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높은 사회적 자본 수준을 토대로 구성원들 간의 신뢰를 바탕으로 하여 지역사회 구성원의 욕구 및 요구수준의 충족과 정서 사회적 유대를 강화하고 연대하는 계기를 마련하여 지역사회 주민들의 참여가 반드시 동반되어야 함을 시사 한다고 볼 수 있다(배은석ㆍ박해긍, 2016).
본 연구는 도농복합지역의 지역사회 활성화와 나아가 지속성장의 실현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연구모델을 제안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는데 학문적 의의가 있다. 그동안 지역사회와 관련된 선행연구에서는 주로 지역애착, 지역만족, 지역참여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집중해왔으나, 본 연구는 이러한 개념들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기요인으로 지역사회자본을 설정하고, 도봉복합지역을 대상으로 이들 변인 간의 관계를 검증함으로써 확장된 연구모델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지역사회 구성원들 간의 관계를 기반으로 사회적 결속력을 높이고 행동의 규칙을 정하며 상호신뢰 형성하는 것까지 포함하는 지역사회자본이 충분할수록 주민들의 지역애착이 증가하고 이는 지역사회 참여로 확산되면서 주민만족의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이를 바탕으로 전략적인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을 본 연구의 실무적 의의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도농복합지역의 대상 지역을 소수의 도시로 한정지였으나 향후에는 다른 지역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주거환경과 사회적 자본, 지역애착도 등이 거주 지역을 기반으로 형성될 수 있다는 점에 기초하면 변수 간 영향 관계 역시 지역에 따라 차이를 보일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의 대상인 도농복합지역의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기존 주민의 인구학적 특성, 유입되는 가구들의 복지서비스 욕구 등이 다양해지고 그에 따라 새로운 지역사회 성격이 생겨나기도 한다는 점에서 종단연구가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REFERENCES

Bae, Eun Suk, and Park, Hae-Keung 2016. The effect of sense of community on the degree of community participation in urban-rural complex areas-With focus on comparison between the residents in urban and rural areas. Journal of Community Welfare 58: 173-199.
crossref
Bae, Eun Suk, Son, Ji-Hyeon Park, Hae-Keung, Song, and Ji, Young 2017. The Impact of Community Attachment on Community Satisfaction - Focused on the Income Level. Journal of Social Science 24(1):137-156.
crossref
Chen, Z, Liu, S, and Yu, Y 2020. Community satisfaction, sense of community, and social well-being in China. Social Behavior & Personality: an international Joumal 48(11):1-9.
crossref
Choi, HeeYong, and JEONG, MOON GI 2019. The Effect of Local Community Attachment on Resident’s Willingness to Participate: Focusing on the Comparison among Five Regions in Seoul.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Quarterly 31(4):855-878.
crossref
Coleman, JS 1988.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capital.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4: 95-120.
crossref
Coleman, JS 2000.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In Knowledge and social capital. Oxford. Butterworth-Heinemann.

Crowe, J 2010. Community attachment and satisfaction: The role of a community’s social network structure.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38(5):622-644.
crossref
Fukuyama, F 2001. Social capital, civil society and development. Third world quarterly 22(1):7-20.
crossref
Grillo, MC, Teixeira, MA, and Wilson, DC 2010.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civic engagement: Understanding the causes of community participation. Social Indicators Research 97(3):451-466.
crossref pdf
Helliwell, JF 2003. How’s life? Combining individual and national variables to explain subjective well-being. Economic modelling 20(2):331-360.
crossref
Hombrados-Mendieta, MI, Gomez-Jacinto, L, Dominguez-Fuentes, JM, and Garcia-Leiva, P 2013. Sense of community and satisfaction with life among immigrants and the native populatio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41(5):601-614.
crossref
Honneth, A 1994. Die soziale dynamik von missachtung: Zur Ortsbestimmung einer Kritischen Gesellschaftstheorie. Leviathan 22(1):78-93.

Hwang, Myeong-Joo, and Kim, Hyeong Soo 2019. Establishment of Community Security Council linked with Community Organization : Focusing on Community Network Utilization Strategy. Journal of Northeast Asian Studies 24(2):207-227.
crossref
Hwang, Myeong-Ju 2020. A Study on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on Community Spirit and Cooperative Governance: Focused on the Local Social Security Consultative Group of Gwangju, Gyeonggi Province. PhD diss.,. Dankook University.

Jun, Mi-Ri 2019. The Influence of the Perception Level of Social Capital(Integrity, Connectivity) on the Residents’ Participation Intention in Rural Development Projects. PhD diss.,. University of Seoul.

Kang, Soon-Hwa, Hwang, Bo-Bae, and Kin, Kong 2012. A Relation Analysis between Regional Attachment, Inhabitant Recognition, Approval Rating, and Collaborative Intention of the Inhabitants at the Regions Expected to Open Megaevents -Centering on 2015 Gwangju Summer Universiad-.. The Korea Journal of Sports Science 21(5):225-242.

Kim, Doo-Soon, Kim, Sung-Rok, and Park, Duk-Byeong 2017. Factors of Community Capacity Influencing Rural Community Satisfaction-Moderating Effects of Community Attachment.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24(4):279-293.

Kim, Eun-Ah 2015. A Study on the Effect of Participation in Community Building on the Social Well-being of the Participant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ense of Community. Phd diss.,. Soongsil University.

Kim, Hee-jin, Ryu, Ji-ho, and Kim, In-sin 2017. Examin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Residents’ Social Identity, Community Attachment, Affective Attitude toward Tourists and Residents’ Citizenship Behavior in Urban Tourism. Northeast Asia Tourism Research 13(4):25-44.

Kim, Hwan-Ho 2021. The Effect of Local Residents’ Perception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on Residents’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PhD diss.,. Gwangju University.

Kwak, Hyon-Kun 2008. A Study on the Neighborhood Effect on Community Social Capital. The Korea Journal of Local Government Studies 11(4):59-86.

Lee, Ju-Hye, Lee, Myeong-Hun, and Jun, Byung-Hye 2009. A Study on Affecting Factor-Construction of the Residents-participatory in Maeulmandeulgi -Focused on Gwangju City Bukgu-. Korea Planning Association 44(1):73-85.

Lee, JungEun 2019.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Performance & Regional Loyalty of the Social Capital of Community Concert: Focused on the MirYang River Odyssey Concert in 2018. JOURNAL OF MICE & TOURISM RESEARCH 19(1):105-124.
crossref
Lee, Kang-Hyeog 2017. A Study on Relationships and Influential Factors between Social Capital and Local Governance - Focused on Daejeon Metropolitan City -. PhD dis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Lewicka, M 2011. Place attachment: How far have we come in the last 40 years?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31(3):207-230.
crossref
LIM, KYUNGHWAN 2020. The effect of Urban Tourism Regeneration on the Community Consciousness and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Journal of Tourism Management Research 99: 571-591.
crossref
March, L, and Lehrer, U 2019. Verticality, Public Space and the Role of Resident Participation in Revitalizing Suburban High-rise Buildings. Canadian Journal of Urban Research 28(1):65-85.

Min, SO-YOUNG, and Lee, Young-Soon 2014. The effect of community context on community participation among women. J Crit Soc Policy 43: 207-235.

Nahapiet, J, and Ghoshal, S 2000. Social capital, intellectual capital, and the organizational advantage Knowledge and social capital. Elsevier. pp 119-157.

Nettle, D 2006. Happiness: The science behind your smile. Oxford University Press. USA.

Oliver, RL 1981. Measurement and evaluation of satisfaction processes in retail settings. Journal of retailing.

Park, Duk-Byeong, Lim, Kwang-Myeong, and Ahn, Jae-Moon 2018. Factors Influencing Community Participation: Moderating Effects on Length of Residency.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25(3):135-148.

Park, Hee Bong, and Kim, Myeong Hwan 2001.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ocial Capital in Korean Community: An Attempt to Measure and Analyze Social Capital. The Korean Political Science Association 34(4):219-237.

Park, Hee Bong, Kang, Je-Sang, and Kim, Sangmook 2003. The creation of social capital and intellectual capital, and their effects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management. Korea Public Administration Journal 12(1):3-35.

Park, Jiin 2021. The Effect of Sense of Community on Community Participation in Married Immigrant Women. PhD diss.,. Inha University.

Park, Sung-Bok, and Lee, Nam-Yul 2018. Causal Relationship of the Impact of Social Capital and Community Consciousness to Housing Satisfaction.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Quarterly 30(1):109-137.

Park, Young-soon, Yoon, Jun-Sang, and KIM, DOO SOON 2020. Moderating Effect of Community Involvement in Relationship between Community Attachment and Community Satisfaction.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 Administration Studies 34(4):279-294.

Putnam, RD 1993. The Prosperous Community: Social Capital and Public Life. The American Prospect 13(4).

SO, JIN KWANG 2004. Toward Developing Social Capital Indicators.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16(1):89-118.

So, Kwang-Sup 2007. A Study on the Social Support and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in Urban-Rural Complex City.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38: 7-30.

Tartaglia, S 2006. A preliminary study for a new model of sense of community.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34(1):25-36.
crossref
Tsai, W, and Ghoshal, S 1998. Social capital and value creation: The role of intrafirm network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1(4):464-476.
crossref
Watson, GW, and Papamarcos, SD 2002. Social capital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Journal of business and psychology 16(4):537-552.

Won, DONGJAE, and Kim, Tae Ryong 2013. Effect of community characteristics on social capital: The case of Hoengseong county. The Journal of Korean Policy Studies 13(4):93-111.

Yi, Hyang-Mi 2019. Determinants of Residence Intention and Its Policy Implications in Urban-Rural Complex Area: Focusing on the Endogeneity Between Regional Identity and Residence Intentio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8):610-617.

Yoon, Hyung ja, and Jung, Hee Young 2020. The Effects of Community Inhabitants’ Community Sense on Their Participation. Journal of Parent Education 16(1):89-118.

Figure 1.
Research Model
jksqm-50-3-333f1.jpg
Table 1.
Sample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Frequency Rate
Gender Male 116 41.1
Female 166 58.9
Age 20s 99 3.2
30s 43 15.2
40s 69 24.5
50s 110 39.0
More than 60s 51 18.1
Occupation Manager 42 14.9
Professionals and Related Industry Personnel 66 23.4
Office Workers 39 13.8
Service Workers 43 15.2
Salesperson 15 5.3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Workers 9 3.2
Functional Personnel 3 1.1
Equipment, Machine Operation, and Assembly Personnel 6 2.1
Simple laborers 5 1.8
Other (Military, Housewife, Student, etc.) 54 19.1
Period of residence Less than 5 years 21 7.4
5 years or more and less than 10 years 24 8.5
10 years or more and less than 15 years 44 15.6
15 years or more and less than 20 years 46 16.3
More than 20 years 147 52.1
Type of resident The Indigenous 129 45.7
Migrants 153 54.3
Residential area Urban Area 187 66.3
Rural Area 95 33.7
Table 2.
Verification Results of Convergent Validity and Reliability
Variable Measurement β S.E. t C.R. AVE Crb. Alpha
Network Network 1 .844 .862 .609 .917
Network 2 .891 .056 19.164
Network 3 .831 .058 17.133
Network 4 .866 .060 18.324
Norms Norms 1 .868 .882 .651 .916
Norms 2 .852 .052 18.7
Norms 3 .890 .053 20.215
Norms 4 .818 .053 17.415
Trust Trust 1 .869 .861 .608 .902
Trust 2 .787 .056 16.344
Trust 3 .851 .056 18.651
Trust 4 .842 .058 18.307
Local Attachment Local Attachment 1 .884 .861 .609 .903
Local Attachment 2 .913 .051 21.933
Local Attachment 3 .731 .057 14.826
Local Attachment 4 .821 .059 18.022
Social Ties Social Ties 1 .869 .867 .620 .890
Social Ties 2 .837 .057 17.696
Social Ties 3 .790 .055 16.11
Social Ties 4 .787 .061 16.024
Resident Satisfaction Resident Satisfaction 1 .826 .884 .656 .914
Resident Satisfaction 2 .903 .057 18.759
Resident Satisfaction 3 .872 .055 17.827
Resident Satisfaction 4 .822 .065 16.317
Table 3.
Verification Results of Discriminant Validity
Variables M SD 1 2 3 4 5 6
1. Network 4.461 1.202 .781
2. Norms 4.52 1.096 .534 .807
3. Trust 4.465 1.086 .669 .729 .780
4. Local Attachment 5.402 1.093 .492 .436 .526 .781
5. Social Ties 5.206 0.977 .562 .471 .601 .653 .788
6. Resident Satisfaction 5.385 1.066 .449 .355 .420 .619 .617 .810
Table 4.
Verification Result of Direct Effect of Structural Model
Hypotheses Path St. Estimate t P
Hypothesis 1-1 Network → Local Attachment .241 2.630 .009**
Hypothesis 1-2 Norms → Local Attachment .048 .487 .626
Hypothesis 1-3 Trust → Local Attachment .354 2.814 .005**
Hypothesis 2-1 Network → Social Ties .274 3.158 .002**
Hypothesis 2-2 Norms → Social Ties −.057 −.618 .537
Hypothesis 2-3 Trust → Social Ties .512 4.266 ***
Hypothesis 3 Local Attachment → Resident Satisfaction .397 5.072 ***
Hypothesis 4 Social Ties → Resident Satisfaction .372 4.724 ***

*** p<.001,

** p<.01

Table 5.
Verification Result of the Moderating Effect of Community Participation
Path Low Group (n = 125) High Group (n = 157) Path Difference (t)
β t p β t p
Local Attachment → Resident Satisfaction .254 2.227 .026* .427 3.839 *** 1.376
Social Ties → Resident Satisfaction .489 3.997 *** .121 1.133 .257 −2.200*

* p<.05

** p<.01

*** p<.001

Editorial Office
1806, 310, Gangnam-daero, Gangnam-gu, Seoul, 06253, Korea
TEL: +82-2-563-0357   FAX: +82-2-563-0358   E-mail: ksqmeditor@ksqm.org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for Quality Management.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